
울릉공항 이렇게 만든다
울릉공항 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건설 중인 소규모 공항으로,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 건설 방법은 지형적 특성과 해상 조건을 고려하여 특수한 공법이 적용됩니다. 주요 공법과 특징을 소개하겠습니다.
1. 건설 개요
- 위치: 울릉도 사동항 인근
- 활주로: 1,200m × 30m (소형 항공기 운항 가능)
- 운항 가능 기종: ATR 72-600 등 50~70인승 소형 항공기
- 목표 개항 시기: 2025년
2. 주요 건설 방법
① 부지 조성 (매립 공법)
울릉도는 산악 지형이 많아 넓은 평지가 부족합니다. 이에 따라 해상을 매립하여 활주로와 터미널을 건설하는 방식이 채택되었습니다.
- 연약 지반 처리: 해저 지반이 약하기 때문에 연약지반 보강공사를 실시
- 암반 절취 및 성토: 인근 산지를 절개하여 공항 부지 조성
② 활주로 및 터미널 건설
- 활주로는 사동항 앞바다를 매립하여 조성
- 강한 해풍과 파도를 견딜 수 있도록 특수 방파제(케이슨 구조물) 설치
- 여객터미널 및 부대시설 건설
③ 접근시설 및 항공 안전시설 구축
- 항공기 접근을 위한 항행안전시설 설치
- 울릉도 특유의 강풍과 기상 변화 대응을 위해 정밀 기상관측 시스템 도입
- 여객 및 화물 수송을 위한 교통 연결망 구축
3. 주요 난제 및 해결 방안
- 지형적 문제: 해상 매립 및 인근 산지 절개를 통해 확보
- 기상 조건: 강풍과 해무를 고려한 항행 시스템 도입
- 환경 문제: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해양 생태 보호 대책 마련
울릉공항은 기존 여객선 의존도가 높았던 울릉도의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며, 완공 시 울릉도 관광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