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센터 국가별 보유 순위, 대한민국은 ?

데이터센터 국가별 순위다. 한국은 아쉽지만 카운트 순번외로 빠진다.
한국에 인터넷이나 서비스들이 빠르고 다양하니 아주 많은 데이터 센터가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.
내 주변에 데이터 센터가 들어오는걸 반대하는 지역도 많다. 하지만 글로벌하게 현실은 아니다..

2023년 기준, 대한민국에는 총 153개의 데이터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, 이는 전 세계적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입니다. 주요 국가별 데이터센터 수를 살펴보면, 미국이 5,381개로 가장 많고, 독일 521개, 영국 514개, 중국 449개, 일본 251개 등의 순입니다.

대한민국의 데이터센터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, 민간 데이터센터의 약 72.9%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는 데이터센터의 지역 분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

또한, 국내 민간 데이터센터의 매출 규모는 2022년 기준 약 3조 9천억 원으로 조사되었으며, 상업용 데이터센터의 매출액은 약 1조 9,34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.87% 증가했습니다.

전 세계적으로 데이터센터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, 특히 미국이 전체 수요의 약 40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

이러한 추세를 고려할 때, 대한민국은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, 지역 분산을 통해 전력 수급 안정과 균형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.

미국이 압도적으로 가장 많고, 다음이 독일, 영국, 중국, 캐나다, 프랑스 … 순서이다.
대부분 미국과 유럽등 국가이며 아시아에서는 중국, 일본, 홍콩, 싱가폴 이다.
실제 싱가폴의 대부분 데이터센터가 해외소유임을 생각하면 중국, 일본 2개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.
대한민국은 그냥 그외 국가에 포함 된다.

이 내용의 원문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
https://www.visualcapitalist.com/ranked-the-top-25-countries-with-the-most-data-centers
이 내용의 원문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
https://www.visualcapitalist.com/ranked-the-top-25-countries-with-the-most-data-centers

데이터센터맵 기록이나 최근 기사를 보면 그 순위나 숫자는 기대 이하 이다.
https://www.datacentermap.com/datacenters/ 의 세계 데이터 센터 숫자 지도에 보면 중국이 6배, 일본이 3배 정도 데이터 센터가 많다.

그런데 이놈의 데이터 센터도 대부분 서울에 몰려 있다. 그만큼 지방이나 다른 도시들은 IT산업 환경이나 인력, 인프라가 더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.

Leave a Reply

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