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. FinOps 의 언어

📖 조직 내 소통을 위해 “공통 언어”가 필수적이다.

  • 조직 내 서로 다른 부서(엔지니어, 재무, 제품팀 등) 간 용어와 이해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공통된 언어 체계가 필요합니다.
  • 모호하거나 중복된 용어 사용은 혼란을 초래하고, 데이터 신뢰를 저하시킵니다.

🗣️ 공통 언어를 정의하는 이유

  • 재무팀은 서비스 비용과 단가 중심으로 보고, 엔지니어는 가용성·성능 위주로 접근합니다.
  • 클라우드로 인해 구매 결정권이 분산되면서, 용어가 복잡해졌습니다.
  • 여러 클라우드 공급자를 사용할 경우 용어가 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에, 보고서마다 사전이 필요하지 않도록 일관된 용어를 사용해야 합니다.

📝 FinOps의 기본 용어 정리

용어 (영문)설명 (한글 요약)
Cost Allocation (비용 할당)클라우드 비용을 각 부서 또는 제품별로 나누어 배분하는 작업
Wasted Usage (낭비된 사용)프로비저닝 되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자원
Rightsizing (적정 사이징)자원 크기를 실제 필요량에 맞게 조정
On-demand Rate (온디맨드 요금)클라우드 서비스 기본 요금
Rate Reduction (요금 할인)장기 약정(Savings Plan, RI, CUD 등)을 통해 받는 할인
Cost Avoidance (비용 회피)사용하지 않거나 축소하여 비용 발생 자체를 피하는 것
Cost Savings (비용 절감)요금 할인을 통해 동일한 사용량에 대해 더 낮은 비용을 지불
Commitment-based Discounts (약정 할인)사전 약정을 통해 클라우드 제공업체에서 받는 요금 할인
Commitment Waste (약정 낭비)약정을 했으나 사용하지 않아 비용이 할인액보다 더 커진 경우
Amortized Costs (상각된 비용)초기 선지불한 금액을 사용 기간 동안 나눠 계산한 비용
Fully Loaded Costs (총 비용)상각된 비용, 할인률 반영, 공통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 실제 사용 비용

💰 재무 용어의 이해 (엔지니어 대상)

  • Matching Principle (수익비용 대응 원칙)
    비용을 지출한 시점이 아니라 실제 가치를 제공받은 기간에 맞춰 비용 처리하는 원칙입니다.
  • Cost of Capital (자본 비용/WACC)
   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때 드는 평균 비용. 클라우드 약정 할인 시 자본 비용을 고려합니다.
  • Cost of Goods Sold (COGS, 매출 원가)
    제품이나 서비스 판매와 직접 연결된 비용. 클라우드 사용료가 대표적인 COGS입니다.
  • EBITDA (이자·세금·감가상각 전 이익)
    기업의 실질적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, 이자 및 세금, 감가상각 비용을 제외한 이익입니다.

🔢 추상화를 통한 비용 이해 촉진

  • 큰 숫자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, 비용 절감이나 지출 규모를 더 이해하기 쉬운 단위로 바꾸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  • 예시:
    • 월 3만 달러 절감 → 엔지니어 연봉 1명분으로 표현
    • 특정 기능 최적화로 절감한 비용 → 맥주 1,000잔 가격으로 표현

🌐 클라우드 언어 vs. 비즈니스 언어

  • 기술 중심 팀(엔지니어링)과 비즈니스 중심 팀(재무/경영진)의 소통을 위해선 클라우드 전문 용어를 일반 비즈니스 용어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  • 예를 들어,
    AWS의 RI(Reserved Instances)를 기술적인 세부사항 대신 “절감액” 또는 “효율성” 같은 일반적인 용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📡범용 번역기(Universal Translator)” 역할의 중요성

  • 기술, 재무, 제품 팀 간의 소통을 촉진하기 위한 “중간 통역자” 역할을 하는 것이 FinOps의 핵심 기능입니다.
  • 궁극적 목표는 팀들이 자체적으로 공통 언어를 사용해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.

📚 모든 부서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

  • FinOps 팀은 재무·기술·제품 팀이 서로 사용하는 용어를 교육하고, 공통의 용어집(Lexicon)을 만들어 소통을 원활히 해야 합니다.
  • 팀 간 언어 차이를 좁히고,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공통어를 만드는데 초점을 맞춥니다.

🥇 벤치마킹과 게이미피케이션(Gamification)

  • 팀 간 비용 관리 성과를 벤치마킹하여 서로 비교 가능하게 하고, 우수한 팀을 칭찬하거나 미흡한 팀에게 피드백을 제공합니다.
  •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경쟁적으로 비용 최적화를 실천하도록 유도합니다.

🎯 결론 및 핵심 정리

  • 팀마다 사용하는 용어가 다르기 때문에 공통 언어 체계(Lexicon)가 필수적입니다.
  • 추상적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비용 수치를 실제 비즈니스 가치와 연결하여 표현하면 팀 간 이해도가 증가합니다.
  • 팀 간의 벤치마킹과 게이미피케이션으로 비용 최적화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.
  • 궁극적으로 FinOps 팀은 번역기 역할에서 벗어나, 조직 전체가 자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.

Leave a Reply

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