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Chapter 7. FinOps 프레임워크 (The FinOps Framework – FinOps Foundation)
FinOps 재단 프레임워크는 조직의 클라우드 성숙도와 복잡성에 맞게 FinOps 운영 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화된 프레임워크입니다. FinOps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원칙, 활동, 평가 기준을 제공하며, 조직의 다양한 요구에 맞추어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🔍 FinOps 프레임워크란?
- FinOps 프레임워크는 클라우드 비용 관리에 있어 조직이 재사용 가능한 모듈들을 통해 빠르게 FinOps 운영을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게 돕습니다.
- 프레임워크는 다음의 주요 요소들로 구성됩니다:
- 원칙(Principles)
- 페르소나(Personas)
- 성숙도(Maturity)
- 라이프사이클 단계(Phases)
- 도메인(Domains) 및 역량(Capabilities)
🧱 FinOps 프레임워크 주요 구성 요소

① 원칙(Principles)
- 모든 활동은 FinOps의 핵심 원칙을 따라야 합니다.
- 원칙 예시:
- 팀 간 협업 촉진
- 모든 사람이 클라우드 사용에 대한 책임 인식
- 중앙 집중형 FinOps 팀이 전체를 지원
- 비즈니스 가치를 중심으로 한 의사결정 등
② 페르소나(Personas)
- FinOps 관련된 조직 내 다양한 역할군입니다.
- 경영진, 엔지니어링, 재무팀 등 모든 페르소나가 공통된 언어로 FinOps를 이해하고 소통하도록 돕습니다.
③ 성숙도(Maturity)
- 프레임워크는 조직의 성숙도에 관계없이 모든 단계에 적용됩니다.
- 각 역량(capability)마다 초기(Crawl), 중간(Walk), 고급(Run) 등 단계별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.
④ 라이프사이클 단계(Phases)
- FinOps의 주요 활동을 단계별로 순환하며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갑니다.
- 정보 제공(Inform) → 최적화(Optimize) → 운영(Operate)의 순환
📚 도메인과 역량 (Domains and Capabilities)
FinOps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주요 도메인으로 구성되며, 각 도메인은 다양한 역량(Capabilities)을 포함합니다.
도메인 | 주된 목표 (Outcome) |
클라우드 사용 및 비용 이해 | 책임성(Accountability)과 투명성 확보 |
성과 관리 및 벤치마킹 | 비용 성과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개선 |
클라우드 요금 최적화 | 더 낮은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 |
클라우드 사용 최적화 | 낭비를 최소화하고 자원 효율성 증대 |
실시간 의사 결정 | 비용 및 사용 현황에 따라 빠른 의사결정 |
조직적 정렬(Alignment) | 조직 전체가 FinOps를 잘 이해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운영 |
⚙️ 역량 구조의 세부 내용
각 역량(Capability)은 다음과 같은 표준 구조로 설명됩니다.
- 정의(Definition): 역량의 목표와 목적을 설명합니다.
- 성숙도 평가(Maturity Assessment): 각 성숙 단계별로 해당 역량을 평가합니다.
- 평가 관점(Assessment Lenses): 역량을 평가하는 5가지 관점입니다.
- 지식(Knowledge): 이해도
- 프로세스(Process): 프로세스의 존재 및 효율성
- 지표(Metrics): 측정 가능 여부
- 적용 범위(Adoption): 조직 내 확산 정도
- 자동화(Automation): 반복적, 효율적인 자동화 여부
- 기능적 활동(Functional Activities): FinOps 활동 수행 시 필요한 작업입니다.
- 성공 지표(Measures of Success): 역량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.
- 입력 자료(Inputs): 외부 데이터 및 참고 자료입니다.
성공 지표의 예시:
- 비용 할당(Cost Allocation): 클라우드 비용 중 팀에게 명확히 할당된 비율(%)
- 예측 정확도(Forecasting Variance): 예측 비용과 실제 비용의 차이(%)
- 자원 사용 효율성(Resource Utilization): 비효율적 자원 사용 비율(%)
🛠️ 프레임워크의 맞춤형 적용(Adapting the Framework)
조직마다 운영 방식과 요구사항이 다르기 때문에, 프레임워크는 유연하게 적용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-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은 예산 및 예측 프로세스가 매우 다릅니다.
-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하는 툴에 따라 프로세스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조직 특유의 워크플로우 및 승인 절차와 같은 특정 프로세스에 맞추어 FinOps 활동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
프레임워크 구현 사례:
- 미국 연방정부 기관들은 공공 부문 특유의 제약 조건에 맞춘 자체 FinOps 플레이북을 제작하여 조직 내에서 적용함.
🔗 다른 프레임워크와의 연결성
FinOps는 기존의 재무 관리 프레임워크(ITFM, TBM, ITAM, ITSM 등)와 상호보완적 관계로 작동하며, 기존 운영 모델과 중복되는 부분은 피하고 서로 강점을 결합하여 더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.
🎯 결론 및 핵심 요약
- FinOps 프레임워크는 조직의 클라우드 성숙도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 가능한 모듈형 운영 모델입니다.
- 프레임워크를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가 공통된 용어와 목표를 갖고 협업할 수 있도록 합니다.
-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고 역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- 조직 특성에 따라 역량을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성공적인 FinOps 운영의 핵심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