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주요 CSP들의 소버린 클라우드 전략 비교

기업전략 요약주요 특징 및 협력 현황
네이버클라우드자체 기술 기반의 독립형 소버린 클라우드 및 AI 플랫폼 구축뉴로 클라우드: 국내 데이터센터 기반의 구축형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
– 하이퍼클로바X: 한국어에 최적화된 초거대 AI 모델
– 소버린 AI: 공공·금융 시장을 위한 맞춤형 AI 솔루션 제공
– 중동 시장 진출: 현지 맞춤형 AI 개발로 글로벌 확장 추진
KT클라우드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하이브리드 소버린 클라우드 개발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(SPC): MS 애저 기반의 보안 강화형 클라우드 서비스
– 데이터 암호화: 고객 전용 키를 활용한 데이터 보호<br>- 전국 13개 IDC 운영: 국내 최대 규모의 인프라 보유
– 공공 부문 강점: CSAP 인증 및 다수의 공공 고객 확보
LG유플러스AWS와의 협력을 통한 한국형 소버린 클라우드 및 AI 플랫폼 개발AX얼라이언스: AW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
– 한국형 소버린 클라우드: 공공·금융·첨단 기업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
– AI 플랫폼: 자체 개발한 소형언어모델 ‘익시젠’과 AWS의 대형언어모델 ‘노바’를 활용한 워크 에이전트 공동 개발
삼성SDS산업별 특화 클라우드 및 AI 솔루션 제공Fabrix: 기업 데이터와 AI를 결합한 맞춤형 생성형 AI 구현
– Brity RPA: 업무 자동화 도구로 다양한 산업군에 도입
– 제조 산업 중심: ERP, MES 등 제조업에 특화된 솔루션 제공
NHN클라우드공공기관 및 게임 산업에 특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광주 AI 데이터센터: 공공기관 대상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지원
– 산업 맞춤형 서비스: 게임, 이커머스, 핀테크, 메시징 등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클라우드 제공
– 글로벌 확장: 도쿄, LA 등 해외 리전 운영

🔍 소버린 클라우드의 핵심 요소

  • 데이터 주권 확보: 데이터를 국내에 저장하고, 외국 정부나 기업의 접근을 제한하여 국가의 법률과 규제를 준수합니다.
  • 보안 강화: 암호화, 액세스 제어, 네트워크 세분화 등 강화된 보안 조치를 통해 데이터 보호를 강화합니다.
  • 규제 준수: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보안 인증(CSAP) 등 국내 인증 제도를 통해 보안성을 입증합니다.(연합뉴스, NIA, Goover)

✅ 요약 및 시사점

  •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소버린 클라우드와 AI 플랫폼을 구축하여 공공 및 금융 분야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  • KT클라우드는 MS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기술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소버린 클라우드를 개발하고 있으며, 전국적인 인프라를 활용하여 공공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.
  • LG유플러스는 AW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형 소버린 클라우드와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며, 국내 기업의 데이터 통제권과 자주성을 강화하고자 합니다.
  • 삼성SDS는 제조 산업 중심의 특화된 클라우드 및 AI 솔루션을 제공하여 산업별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.
  • NHN클라우드는 공공기관 및 게임 산업에 특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, 국내외 리전을 운영하여 글로벌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(티맥스티베로 공식 블로그, 아시아경제)

각 기업은 자사의 강점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소버린 클라우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, 데이터 주권과 보안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(아시아경제)


Leave a Reply

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